728x90
SMALL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를 쓴다는건 하나의 (가상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서 사용한다는 의미로 볼 수 도 있다
가상머신 만들때 프라이빗한 네트워크를 만들고 가상화된 서버를 만들어서 그안에다가 prvate한 서버를 만들고 외부랑 연결하고,, 그 자체를 데이터 센터를 만든것이라 볼 수 있음!
클라우드의 장점
- 고 가용성
- 재해 복구
- 확장성
- 유연한 예산 운용
- 민첩성
- 탄력성
- 글로벌 분산
- 대량의 가용성
- 보안성결함에 따른 복구성
public cloud : 서버를 대여하는 모델의 경우 prvate하게 사용가능
가장 많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또는 호스팅 제공 업체가 소유
특정되지 않은 사용자..
private cloud :
클라우드 리소스를 조직에서 소유하고 관리/운영
담당 조직은 데이터 센터에 클라우드 환경을 만듦
pod.yaml 변경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labels:
app: nginx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1.14.2
ports:
- containerPort: 80
kubectl get pod -o wide
curl -X GET <POD-IP> -vvv
도커에서 이미지 만드는이유? -> 컨테이너 여러개 띄우기 위해
이미지를 만들면 (트레픽이 몰리는 등) 가상머신을 늘려야할때 붕어빵처럼 찍어서 만들수 있다! 오토스케일링!
유연한 서버관리를 위해 가상머신으로하거나(클라우드) 컨테이너로 할수 있음(쿠버네티스의 디플로이먼트)
로드밸런서의 ip를 통해서 vmss로 감 -> 로드밸런서가 부하분산을 해줌
플라스크는 웹서버가 아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