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코덱
동영상의 저장과 재생을 담당하는 규칙
종류에 따라 사용가능한 색공간과 색삼심도, 압축 기술이 제한되어 동영상 화질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함
8비트로 양자화된 데이터란 0과 최고값의 차이를 단순히 8개 단계로 나눈 것이 아니라 2의 8배수인 2^8(-256)로 구분된 디지털 데이터를 의미한다.비트수가 커질 수록 저 정밀하게 측정하고 표현할 수 있지만 동시에 데이터 크기도 단계별로 2배씩 커지기 떄문에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바트수를 사용해야한다.
컨테이너 또는 래퍼 포맷이라 불리는 것은 주어진 어느 데이터의 형태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떤 프로그램과 연결해 실행시킬 것인지 작업자 또는 컴퓨터가 판단할 수 있게 해 주는 메타 정보 포맷을 말함.
동영상 컨테이너
VP8,VP9 : on2테크놀로지스에서 개발한 vp8 코데글 사용하는 동영상 컨데이너. on2테크놀로지스를 인수한 구글이 vp8을 무료로 사용가능하도록 공개. vp9는 vp8의 차기작. 이 둘 모두 webm에 밀려 거의 사용되지 x
webm : 구글의 지원으로 개발된 개방현 공개 멀티미디어 파일용 컨테이너. 비디오 코덱으로 vp8, vp9,av1을 사용하고 오디오 코덱으로 보비스와 우푸스를 주로 사용.
비디오 코덱과 압축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코덱이란 코더와 디코더의 머리글자를 모은 합성어로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해 저장 및 재생하기 위한 규칙으로 MPEG시리즈, WMV시리즈 등이 있다.
좋은 코덱이란 용량을 줄였음에도 손실되는 데이터가 적어 원본과 비슷한 품질을 유지하는 높은 효율은 기본이고, 이를 재생하고 다른 형태로 변형하기에도 수월하며 호환성이 좋아 가급적 많은 장비와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 비용도 저렴한 코덱을 말함.
압축은 가역압축과 비가역압축의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가역압축이란 압축된 데이터라도 손상없이 압축되기전 상태로 되돌릴수 있는 압축. 압축효율이 떨어지고 특수한 상황에서 제한된 용도로 사용.
비가역압축= 손실압축/ 가역보다 더 많이 사용
프레임레이트 : 1초에 사용되는 이미지의 수
비트레이트 : 초당 처리해야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비트라는 컴퓨터가 사용하는 최소 단위를 사용해 표기하는 것을 의미하며 단위로 비트퍼세컨드 를 사용한다.
바이트는 8비트 B
AVC(H.264)
기존의 동영상 압축 기술들과 비교해 높은 압축효율을 자랑하며 기술적, 역사적 지표가 됨.
HEVC(H.265)
다양한 크기의 코딩 블록, 예측 블록과 변환 블록 지원, 향상된 움직임 벡터 예측과 다양한 방향으로의 화면 내 예측.
높은 사양의 하드웨터 또는 긴 작업시간 필요
VP9,VP8
인코딩은 HEVC에 비해 살짝 높지만, 디코딩이 훨씬 낮아 콘텐츠 소비기기의 부담을 낮춰준다는 장점이 있음
지원 기기가 적어 일반 사용자가 인코딩할 경우 장점 없음
AV1
vp9과 hevc보다 높은 압축 효율을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비디오 코덱들보다 더 커진 128x128 매크로 블록 지원기증과 함께 트랜스폼 타입과 예축 기술의 종류를 더 늘렸으며 압축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중 하나인 필르 그레인을 코덱 자체적으로 합성하는 기증을 추가함.
vvc
hevc 보다 2배의 효율
evc
필수 비디오 코딩의 줄임말. 8k,4k및 vr과 hdr 콘텐츠를 위해 개발되고 있는 비디오 코덱
<동영상 포맷>
영상으로 어떤 작업을 하거나 사용할 때 호환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각종 기관 또는 장비 제조사에서 그 세부 규격을 정해 놓은 것.